살빼려면 운동하지마라 (feat.신진대사비교)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체중감량은 남녀노소 누구나 미의 기준을 위해 누구나 매번 노력하는 행동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체중감량 즉 살 빼려고 노력하는데 살빼려면 운동하지마라 ? 무슨 얘기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 연구자료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은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고 밝혀졌네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운동은 살빼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미국 국립보건원의 케빈 홀 박사는 운동과 체중 감량에 관한 몇 가지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결론은 ‘운동은 체중 감량 도구가 아니다.’ 라는 점입니다.

오해하지말아야 할 점은 운동은 커피와 담배를 끊는것과 더불어 건강을 위해서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라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운동 그 자체를 체중감량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물론 꾸준한 운동은 건강을 향상시켜 더 오래 그리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살빼려면 운동하지마라? 왜?

운동은 살을 빼기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그에 대한 이유는 우리의 신체가 에너지를 소모하는 방법과 큰 관련이 있죠.

먼저 우리가 에너지 즉 칼로리를 소비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칼로리를 소모하는 3가지 방법

우리 신체가 칼로리를 소모하는 3가지 주요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첫 번째로 우리의 신진대사입니다.

신진대사는 그저 살아있기 위해 행동하는 모든 행동들이죠. 잠을 잘때에도 우리 몸은 쉴새없이 뇌에 혈액을 공급하고 움직입니다. 이러면서 칼로리를 소모합니다.

두 번째로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의 열 효과(TEF)입니다.

아직 한국어로 정확히 번역된 용어는 없는 것 같지만 쉽게 말하면 섭취한 음식을 소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효과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위 링크 참고)

마지막 방법은 우리의 신체활동입니다.

우리가 걷거나 뛰거나하는 등의 모든 행동들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10 ~ 30%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우리가 체중감량을 위해 하는 운동이나 신체활동에 비해 기초대사 또는 신진대사라고 불리는 방법에 비해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에너지 소모의 대부분은 여러분이 거의 통제할 수 없는 기초 또는 휴식 중인 신진대사에서 나옵니다.

우리가 섭취하는 칼로리는 우리가 선택하지만, 결국 최대 30% 정도만 우리가 신체활동을 통해 의도적으로 소모할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성인 남자가 4주동안 주 4일, 약 한시간 가량 달리기를 하면 2kg 정도를 감량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한 경우)

하지만 아쉽게도 ‘다른 모든 조건’은 운동을 할수록 똑같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운동을 하면 바뀌는 것들

운동을 시작하고 운동강도와 운동량을 늘리면 여러 가지 조건들이 바뀝니다.

신체활동 즉 운동은 우리를 배고프게 만듭니다.

저뿐만 아니라 모두가 경험해봤을겁니다. 아침에 운동을 하고나면 허기가 지기 때문에 이로인해 아침에 평소바다 밥을 먹게되는 경험. 다들 있으시죠?

일부는 격렬한 운동을 하면 움직이기가 싫어집니다.

‘보상 행동’ 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행동은 헬스장에서 스쿼트를 열심히 한 후에 계단으로 내려가가보다는 엘리베이터를 선호하게 되는 그런 점을 말합니다.

이런 것으로 인해서 평소와 우리의 신체활동이 달라지죠.

살을빼면 휴식 신진대사가 느려집니다.

‘대사 보상’이라는 이러한 효과는 우리가 휴식 중에 소비하는 휴식 신진대사가 느려지기 때문에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매우 비효율적이게 됩니다.
(위에 설명했지만, 신체활동들의 에너지소비는 신진대사 등의 효과보다 적습니다.)

사냥꾼들은 칼로리 소모가 더 많을까?

2012년에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사바나에 있는 사냥꾼의 에너지소모를 측정했습니다.
보편적인 생각으로는 사냥꾼들은 매우 활동적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칼로리 소모가 많을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도심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하네요.
(신체활동으로 인한 에너지소모는 컸지만 다른 작용에 의하여 상쇄되었다고 하네요.)

마무리

설탕 덩어리 코카콜라회사가 운동을 홍보한다?
이러한 광고의 쟁점은 칼로리가 무지하게 높은 회사들의 제품을 섭취해도 운동으로 건강한 몸매를 유지할 수 있다고 소비자에게 현혹시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현재는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있음에도 운동만이 왜 유일한 해결책으로 불리는지 이해가 되지를 않네요.

결론적으로 운동으로 살을 빼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이 통제되고, 더 많은 운동량이 필요하겠네요.

이 글을 통해서 ‘왜 살빼려면 운동하지마라’ 라는 인식들이 해외에서 생기고 있는지 조금은 알게 되길 바라며, 다음번에는 신진대사를 높이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