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레미아 터미널 위치 여기서 알아보세요.
에어프레미아는 조금 특이한 컨셉의 항공사입니다.
비행 뿐 아니라 모든 부가 서비스를 합친 항공사를 일컫는 FSC
그리고 비행에 전념하며 기타 부가 서비스를 유료로 판매하는 LCC
이 둘 중간을 합친 HSC를 컨셉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싱가포르와 미주 노선 등을 운항, 계획하며 중, 장거리를 여행하시는 분에겐 희소식이 될 수 있겠네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적항공사들의 터미널과 카운터 정보 포스팅의 마지막인 에어프레미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목차
에어프레미아? HSC?

에어프레미아에 대하여
‘인천국제공항을 허브공항으로 운항하는 대한민국의 하이브리드 항공사.
장거리 노선 전문 항공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는 싱가포르에 정식 취항하여 운행중이다. 또한 호치민과 LA 취항이 확정되었으며 2023년에는 유럽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합리적 가격에 프리미엄 좌석을 제공한다는 HSC(Hybrid Service Carrier) 전략을 표방한다. FSC(Full Service Carrier, 기존 항공사)처럼 퍼스트 클래스나 비즈니스 클래스를 두지는 않지만 프리미엄 이코노미가 부가된 2클래스로 구성할 예정이다. 모든 좌석은 레카로 제작의 가죽재질 좌석을 장착했다. 일반적인 저비용 항공사도 장거리 기재는 보통 2클래스 구성을 하지만 이들보다 훨씬 넓게 공간을 배치하며, 42인치 피치의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는 FSC 이코노미 클래스의 140% 수준 운임을, 35인치 피치의 이코노미 클래스는 FSC 이코노미 클래스의 80-90% 수준 운임으로 경쟁한다는 전략이다. 우리나라에서 하이에어 다음으로 넓은 이코노미 좌석, 가장 넓은 프리미엄 이코노미 좌석을 운영한다.
국내선 운항당시 모든 클래스 좌석 승객에게 와이파이를 무료 제공하는 매우 혜자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다만 100MB 정도이고 와이파이 기기 오류가 잦은지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
라고 나무위키에서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어프레미아 터미널
각 공항 터미널의 경우 자신의 여정이 국제선인지 국내선인지에 따라 해당하는 공항의 터미널로 향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대한항공을 제외한 전 항공사는 제 1 여객터미널을 사용합니다.
에어프레미아 카운터 (국내선)
* 에어프레미아의 경우 초기 2021년 8월 11일부터 2021년 10월 30일까지 김포-제주 노선을 운항하였으나 최근에는 운항이 종료되었습니다.

에어프레미아 카운터 (국제선)
에어프레미아의 경우 국내에서 출발하실 때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 인천국제공항
- J1~J8
마무리
하이브리드 컨셉의 에어프레미아는 정말 기대되는 항공사 중 하나입니다.
미주 노선을 취항하게된다면 국적항공사 중 3번째로 취항하는 항공사가 되며, 향후 유럽노선 확대 등을 통해 여행자들에게 큰 옵션이 되겠네요.
오늘 에어프레미아 터미널 위치와 카운터 정보를 통해 국적항공사들의 정보 등을 알아봤습니다.
여행을 즐기시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대한항공 터미널 위치 및 카운터 정보
- 진에어 터미널 위치 및 카운터 (최신 사진첨부)
- 아시아나항공 터미널 및 카운터 위치 (+카운터전화번호)
- 에어부산 터미널 위치 및 카운터 공유
- 에어서울 터미널 위치 및 카운터 정리
- 티웨이항공 터미널 위치 그리고 카운터 정보
- 제주항공 터미널 위치 및 카운터 정보 정리
- 에어로케이 터미널 및 카운터 정보
- 플라이강원 터미널 위치 그리고 카운터 정보